본문 바로가기

IT/하드웨어

5. CPU 공랭 쿨러 3종 테스트 ( 인텔 시스템, 누드테스트 )



각 팬별로 성능위주 / 소음위주로 진행.

단일팬 구성, 쌍팬 구성 등 가능한 모든 테스트 진행.


Linx 0 6 4 버전을 테스트로 사용하지 않은 이유는 너무 낮은 온도로 인해 쿨링 성능의 차이를 차별화 하기 힘들어서

극한의 쿨링을 확인하고자 0.9.1 버전으로 진행.

< Linx 0.6.4 - CPU 온도 max 77도, 노스브릿지&전원부 온도 max 45도 >

< Linx 0.9.1 - CPU 온도 max 92도, 노스브릿지&전원부 온도 max 47도 >


가. 트리니티 화이트 ( 누드 테스트 - 성능 중점 )


1. 트리니티 화이트 번들팬의 기본 소음 및 온도 [1팬]


23분간 링스 풀로딩 시 소음도 18~26 dB , CPU 온도 max 92도, 전원부 온도 max 45도 였습니다.


< 소음도 18~26 dB >


< CPU 온도 max 92도, 노스브릿지&전원부 온도 max 45도 >



2. 트리니티 화이트의 쌍팬 소음 및 온도 ( NOCTUA NF-S12B redux-1200 PWM 후면팬 )


링스 풀로딩시 소음도 max 27 dB, CPU 온도 max 86도, 전원부 온도 max 44도 였습니다.


(트리니티 화이트의 번들팬과 녹투아 리덕스 팬의 rpm이 거의 비슷하고 소음도 비슷하여 쌍팬 후면으로 사용)


< 소음도 27 dB >


< CPU 온도 max 86도, 노스브릿지&전원부 온도 max 44도 >



나. 트리니티 화이트 ( 누드 테스트 - 저소음 중점, 저항사용 )


1. 트리니티 화이트의 번들팬 소음 및 온도 [1팬] - 96도를 넘어가는 온도로 인해 테스트 중지 및 불가능


2. 트리니티 화이트의 쌍팬 소음 및 온도


링스 플로딩시 소음도 22~26 dB, CPU 온도 max 92도, 노스브릿지&전원부 온도 max 44도 였습니다.

( 저항 없는 단일팬 구성과 거의 동일한 효과 )


<소음도 22~26dB>

< CPU온도 max 92도, 노스브릿지&전원부 온도 max 44도 >


다. 레진텍 레토 ( 성능 위주, 단일팬-쌍팬-팬교환혼종 )


테스트 세부 내용 및 영상 자료 : http://ju-story.tistory.com/20?category=749640



1. 레진텍 단일 번들팬의 기본 소음 및 온도 [1팬]


링스 풀로딩(64분) 시 소음도 24~30 dB, CPU 온도 max 93도, 노스브릿지&전원부 온도 max 48도 였습니다.


< 소음도 24~30 dB >


< CPU온도 max 93도, 노스브릿지&전원부 온도 max 48도 >


2. 레진텍 쌍팬의 기본 소음 및 온도 ( 전면 번들팬 + 후면 글라이드 스트림팬 )


링스 풀로딩(64분) 시 소음도 26~32 dB, CPU 온도 max 88도, 노스브릿지&전원부 온도 max 46도 였습니다.

단일 번들팬 대비 5도 하락.


< 소음도 26~32 dB >


< CPU온도 max 88도, 노스브릿지&전원부 온도 max 46도 >


3. 레진텍 교체 혼종팬의 기본 소음 및 온도 [ TY - 143 ]


링스 풀로딩(64분) 시 소음도 26~32 dB, CPU 온도 max 83도, 노스브릿지&전원부 온도 max 42도 였습니다.

번들팬+글라이드 스트림팬 대비 5도 하락. ( 기본 번들팬 대비 10도 하락 )


< 소음도 28~34 dB >


< CPU온도 max 83도, 노스브릿지&전원부 온도 max 42도 >



라. 닌자4 글라이드 스트림 쌍팬


닌자4가 단종되어 같은 히트싱크에 마감 및 메모리 간섭을 고려한 수정을 가한 닌자5와 비교를 위해 흡기팬, 배기팬간의 팬 속 조절

닌자5의 기본 번들팬은 800 rpm 작동으로 닌자4 글라이드 스트림 팬 low 설정과 동일.

닌자5의 번들팬 중 하나를 교체해서 사용한다면 어떤 결과가 나타나는지 흡, 배기팬의 설정을 다르게 함

소음도(dB) 관련한 사진은 자료의 분실로 인해 첨부 불가능하지만 라이젠 시스템에서와 마찬가지로 28~32 dB.


팬설정 테스트 관련 : http://ju-story.tistory.com/admin/entry/post/?id=26&type=post&returnURL=%2Fmanage%2Fposts


1. 성능 위주 및 팬 조절 ( 흡기팬 high, 배기팬 low 설정 ) - 닌자5 전면팬을 성능 좋은 팬으로 교체시


링스 풀로딩(25분) 시 소음도 28~32 dB, CPU 온도 max 77도, 노스브릿지&전원부 온도 max 45도 였습니다.


< CPU온도 max 77도, 노스브릿지&전원부 온도 max 45도 >



2. 성능 위주 및 팬 조절 ( 흡기팬 low, 배기팬 high 설정 ) - 닌자5 후면팬을 성능 좋은 팬으로 교체시


링스 풀로딩(25분) 시 소음도 28~32 dB, CPU 온도 max 79도, 노스브릿지&전원부 온도 max 43도 였습니다.


< CPU온도 max 79도, 노스브릿지&전원부 온도 max 43도 >




3. 성능 위주 ( 쌍팬 설정 High )


링스 풀로딩(23분) 시 소음도 28~32 dB, CPU 온도 max 73도, 노스브릿지&전원부 온도 max 42도 였습니다.

( 스샷 분실 )



4. 저소음 위주 ( 쌍팬설정 Low )


링스 풀로딩(15분) 시 소음도 24~28 dB, CPU 온도 max 81도, 노스브릿지&전원부 온도 max 51도 였습니다.

( 스샷 분실 )



* 애초에 라이젠 cpu를 4.0으로 오버하여 테스트하려고 하였으나 트리니티 화이트 단일팬에 저항을 달았을때 4g가 무리로 보여 3.8g로 테스트를 진행함 ( M2 서멀 사용시 )

* 차후 4.0g도 진행하였으나 테스트 데이터 손실. ( 근2주간의 데이터가... ㅠㅠ )

* 차후에 M2을 닌자4에 번들인 SCYTHE사의 서멀로 교체시 약 3.5~5도의 차이가 남

* Arctic사의 MX-4와 SCYTHE사의 서멀의 차이는 경화기간이 필요한 MX-4의 경우 초기엔 성능이 떨어지다가 나중에 거의 동일한 성능이거나 미세하게 MX-4가 성능이 앞섬


트리니티 써멀(M2) 최고온도 75.5도 / 닌자4 동봉써멀 최고온도 72도

대략 3.5도 차이 


* 해당 모든 테스트는 현재 사용중인 팬을 사용하여 객관적인 실험 데이터 산출하기 위함이며, 그 과정속에서 써모랩사의 트리니티 화이트 쿨러와 소모품을 지원 받고 진행하게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