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pu 바이오스 설정 전압 : 1.3125v
cpu vcore : 1.264v
cpu vdd : 1.313v
각코어 vid : 1.313v
aida64 cpu vid : 1.319v
soc : 1.199v
dram : 1.373-1.395v
모든 팬 : 항상 max rpm
후면배기 : 쿠거 dual-x 140mm 화이트 (빅타워) , 녹투아 redux nf-s12b 1200pwm ( 미들타워 )
- 쿨엔 공냉쿨러 비교테스트 데이터로 비교시 둘의 쿨링 성능이 거의 같음.
후면배기라 시나리오1번으로 고려시 풀 rpm 성능 쿠거 dual-x 140mm : 65.62 cfm, 녹투아 redux nf-s12b : 65.05 cfm
상단후면배기 : 쿠거 140mm 화이트 (빅타워), TY-147A (미들타워)
상단전면배기 : antec p8 번들팬 ( 기류에 영향만 주는 조용하고 적당한 성능 )
전면 3개 : 쿠거 120mm 화이트
칩셋 + m2 ssd 쿨링을 위한 스팟 쿨링 80mm 팬 이용
케이스 : BRAVOTEC 스텔스 LX (빅타워) / Antec P8 (미들타워)
** 빅타워 -> 미들타워로 변경시, 마초 RT의 링스 테스트 중 멈춤(뻗음) 현상으로 cpu인가 전압을 1.3125 -> 1.31825로 올렸습니다.
가. BRAVOTEC 스텔스 LX (빅타워)
1. 닌자4 쌍팬
cpu 온도 - 최소 : 35, 최대 : 84 / vrm 온도 - 최소 : 35, 최대 : 69
딱히 문제 없고 잔차 튐 등의 오버클럭 실패 증상 없이 무난하게 테스트 종료.
b) 마초 RT 링스 도중 뻗음 ( 급사 ㅋ ) - 19분 57초
< 동영상 첨부 >
* 빅타워 테스트 중, 마초 RT의 링스 테스트 중 멈춤(뻗음) 현상으로 cpu인가 전압을 1.3125 -> 1.31825로 올렸습니다.
전압 1단계 추가 인가로 인해 발열이 다소 올랐을 수 있음을 감안해야 합니다.
1. 닌자4 쌍팬
cpu 온도 - 최소 : 32, 최대 : 88 / vrm 온도 - 최소 : 39, 최대 : 72
딱히 문제 없고 잔차 튐 등의 오버클럭 실패 증상 없이 무난하게 테스트 종료.
내부 공간이 좁으나 쌍팬으로 인하여 적당한 거리마다 팬의 위치 때문인지 몰라도 아이들시 온도가 약 3도 하락.
아이들 외에 일반 작업시에도 마초 RT대비2-3도 하락.
하지만, 풀로드시에 마초 RT 번들과 온도 차이는 거의 없는 수준이며 빅타워 대비 온도가 4도 상승.
2. 마초 RT
3. 마초 RT 혼종
cpu 온도 - 최소 : 35, 최대 : 82도 / vrm 온도 - 최소 : 33, 최대 : 62
완전히 같은 설정임에도 불구하고 역시나 온도가 괜찮으니 무리 없이 링스 테스트가 완료 되었습니다.
후면 배기팬과의 거리와 상단후면배기팬과의 거리도 빅타워에 비해 줄어들었으나 전체적인 시스템 온도는 상승.
( 이전부터 느꼈지만 P8의 시스템 쿨링이 좋지많은 않음 )
< 동영상 첨부 >
< 마초 RT 후면팬과의 거리 > - 약 1cm
< 마초 RT 상단배기팬과의 거리 > - 3cm 미만
아무래도 제가 현재 사용하는 2700X의 환경에서는 마초RT가 닌자4 쌍팬보다는 쿨링 효율이 떨어지는 상황입니다.
시스템 쿨링이 좋은 3r sys의 L400으로 추가 테스트를 할 예정이긴 하지만, 보드를 바꿔야하고 해야할게 많아서 일단 차후에 해당 테스트는 추가로 진행하고 포스팅 할까 합니다.
라이젠 피나클릿지 2700x가 기존 서밋릿지에 비해서 분명 인가 전압이 0.1v이상 낮고 공정 또한 낮아졌음에도 불구하고 동일 클럭에서의 발열은 더 높아졌습니다.
다소 아쉬운 부분이지만 동클럭에서 성능이 5~7%정도 향상되었으니 만족할만 합니다.
다만, 사용하고 있는 서밋릿지의 1600x(부활) = 짭 1800x의 수율이 상급이어서 상당히 좋았던 관계로 그 만족감이 많이 줄어드네요.
물론 지금의 2700X의 수율도 중상급 이상인 것으로 확인은 하였습니다.
4.2G 상황에서 기본 vid 전압을 1.35v로 인식하는걸 보면 나름 상급이지만 x370보드의 한계 및 몇몇 온도 버그와 에어컨이 없는 쿨링 상황 때문에 제대로 된 성능을 뽑지 못하는거 같아 아쉽네요.
왜 피나클릿지의 안정화 작업 포스팅이나 자료들이 별로 없고 링스 테스트 등을 올린 자료가 없는지 알겠습니다.
발열이 너무........
어쨌든 차후 테스트 시, 포스팅 하겠습니다.
'IT > 하드웨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크헤6 바이오스 베타 6201 with 2700x 그리고 마초RT 쌍팬 구성 후기 (1) | 2018.06.03 |
---|---|
Thermalright Le GRAND MACHO RT vs SCYTHE Ninja4 Double fan 비교 ( 인케이스 ) - 부록 (0) | 2018.06.01 |
Thermalright Le GRAND MACHO RT vs SCYTHE Ninja4 Double fan 비교 (0) | 2018.05.26 |
Thermalright Le GRAND MACHO RT 개봉기 (0) | 2018.05.26 |
저소음 CPU 공랭쿨러 트리니티 화이트 (0) | 2018.05.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