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하드웨어

2. CPU 공랭 쿨러 2종 테스트 ( 라이젠 시스템, 누드테스트 ) - 3종이었으나 부득이하게 2종으로..

Jubey 2018. 4. 11. 11:35

각 팬별로 성능위주 / 소음위주로 진행.

단일팬 구성, 쌍팬 구성 등 가능한 모든 테스트 진행.

( RAIJINTEK LETO red 의 경우 라이젠 시스템 결착이 불가능하여 테스트 제외 )


가. 트리니티 화이트 ( 누드 테스트 - 성능 중점 )


1. 트리니티 화이트 번들팬의 기본 소음 및 온도 [1팬]


27분간 링스 풀로딩 시 소음도 25~26 dB , CPU 온도 max 76.5도, 전원부 온도 max 64도 였습니다.


< CPU 온도 max 76.5도, VRM온도 max 64도 >


2. 트리니티 화이트의 쌍팬 소음 및 온도 ( NOCTUA NF-S12B redux-1200 PWM 후면팬 )


링스 풀로딩시 소음도 28~29 dB, CPU 온도 max 71도, 전원부 온도 max 59도 였습니다.

(트리니티 화이트의 번들팬과 녹투아 리덕스 팬의 rpm이 거의 비슷하고 소음도 비슷하여 쌍팬 후면으로 사용)


<소음도 28 dB, 메모리 바로 앞에 전원부를 향한 스팟 쿨링팬>


<CPU 온도 max 71도, VRM(전원부) 온도 max 59도>



나. 트리니티 화이트 ( 누드 테스트 - 저소음 중점, 저항사용 )


1. 트리니티 화이트의 번들팬 소음 및 온도 [1팬]


링스 플로딩시 20-22 dB, CPU 온도 max 85.5도, 전원부 온도 max 68도 였습니다.


<CPU 온도 max 85.5도, VRM(전원부) 온도 max 68도>


2. 트리니티 화이트의 쌍팬 소음 및 온도


링스 플로딩시 소음도 20 dB, CPU 온도 max 74.6도, 전원부 온도 max 65도 였습니다.


<소음도 20dB>


<CPU온도 max 74.6도, VRM(전원부) 온도 max 65도>


다. 닌자4 쌍팬 (성능 위주, 쌍팬 설정 High) 


링스 풀로딩시 소음도 29~33 dB, CPU 온도 max 65.8도, 전원부 온도 max 55도 였습니다.


<소음도 33dB, 30cm 거리>


<소음도 29dB>


<CPU 온도 max 65.8도, VRM(전원부) 온도 max 55도>


라. 닌자4 쌍팬 (저소음 위주 쌍팬설정 Low) 


소음도 13~22dB, CPU 온도 max 74도, 전원부 온도 max 61도 였습니다.


<소음도 13dB>


<소음도 22dB>


* 애초에 라이젠 cpu를 4.0으로 오버하여 테스트하려고 하였으나 트리니티 화이트 단일팬에 저항을 달았을때 4g가 무리로 보여 3.8g로 테스트를 진행함 ( M2 서멀 사용시 )

* 차후 4.0g도 진행하였으나 테스트 데이터 손실. ( 근2주간의 데이터가... ㅠㅠ )

* 차후에 M2을 닌자4에 번들인 SCYTHE사의 서멀로 교체시 약 3.5~5도의 차이가 남

* Arctic사의 MX-4와 SCYTHE사의 서멀의 차이는 경화기간이 필요한 MX-4의 경우 초기엔 성능이 떨어지다가 나중에 거의 동일한 성능이거나 미세하게 MX-4가 성능이 앞섬


트리니티 써멀(M2) 최고온도 75.5도 / 닌자4 동봉써멀 최고온도 72도

대략 3.5도 차이 


* 해당 모든 테스트는 현재 사용중인 팬을 사용하여 객관적인 실험 데이터 산출하기 위함이며, 그 과정속에서 써모랩사의 트리니티 화이트 쿨러와 소모품을 지원 받고 진행하게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