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하드웨어

[ AMD PC 시리즈 ] 2. 작고 예쁜 그러나 뛰어난 PC ( by 레이븐릿지 )

Jubey 2019. 1. 23. 18:58


얼마전 작성했던 " [ AMD PC 시리즈 ] 1. 최강 가성비 PC 레이븐릿지 "에 이어

2탄 ITX PC를 소개합니다.

GIGABYTE B450 I AORUS PRO WiFi 사용기 < CPU & 메모리 오버클럭 >에 사용된 시스템에 레이븐릿지 2400G를 추가하고

재조립하여 CPU(APU)의 성능은 유지하고 휴대 가능하며 영화감상, 음악감상 등에 두루 활용할 수 있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게임도 적당히 즐길 수 있는 ITX PC로 재구성 하였습니다.

잠시 구동 영상 및 구동 사진을 통해서 해당 시스템을 확인 ^^

( 이쁜건 개인의 취향이지만 RGB, LED 감성이 없어서 기존 시스템은 다 불빛을 끈채로 사용합니다는 저에게도 괜찮아 보입니다 )

* 영상으로나 혹 사진으로 종종 PC옆에 1.25L 펩시콜라가 보일텐데 크기를 알기 쉽게 가늠하기 위해 같이 촬영을 하였습니다. 음료수보다 작다 !!!


< 구동 영상 및 구동 사진>




 [[ 시스템 환경 ]]


CPU : AMD 레이븐릿지 2400G < 3.6 @ 3.9g 1.3625v / 내장 gfx 1600 / soc(=gfx 동기화) 전압 : 1.225v > gfx 클럭에 따라 요구 전압이 다름

M.B : GIGABYTE B450 I AORUS PRO WiFi < 바이오스 버전 F4 agesa 1.0.0.6 >

RAM : Cosair Vengeance RGB PRO 3200 CL 14 8g x 2 < 3466 14-15-15-15-30-54-430-gdm 1T 1.41~2v >

SSD : Intel 545s 2.5" 512GB SATA III 64-Layer 3D NAND Internal Solid State Drive SSD

HDD : WD Mybook 8TB 외장 사용 ( usb 3.0 )

PSU : SuperFlower SF-650F14MG LEADEX GOLD

CASE : 대양케이스 ATOM itx [ 단종 ] ( 후면 흡기 120mm 1개 + 상단 배기 120mm / ALSEYE D-RINGER a-rgb PWM 2개 )

CPU 쿨러 : 프리즘 ( 2700x 기본 쿨러 ) - 기존에 사용하던 Wraith Max가 성능은 좀 더 앞서지만 프리즘이 더 이뻐서... ^^


** 프리즘 쿨러 + 메인보드의 백라이트 rgb + ALSEYE RGB팬 + 허세어 RGB PRO 조합의 RGB 통일되어 작동하지는 않지만 레인보우 RGB로 인해 상당히 괜찮습니다 


1. 바이오스 및 오버클럭 설정


해당 내용은 이전에 작성한 글 내용 그대로이기에 접기 기능으로 해당 내용은 다음의 "설정 보기"클릭하여 보면 됩니다.


2. 메모리 & CPU 오버클럭 안정화 및 성능 테스트


 가. 메모리 오버클럭 및 안정화 테스트

 TM5 : cycle 10회 연속 2회 가동.

 HCI memtest : 메모리 가용량의 98~99%로 설정 후 1500% 테스트 통과


 1) TM5 구동


 2) TM5 테스트 완료 후 HCI memtest 실행


 3) HCI 테스트 통과 중 ( 650%, 1500%, 테스트 마무리 직전 )

 < 650% >

 

 <1500% >

 

< 테스트 마무리 직전 >


 4) HCI 테스트 완료 후 각종 모니터링 내용

메모리 최대 온도 : 43.3도 / 전원부 최대 온도 : VRM 41 VSOC 40도 / CPU 최대 온도 : 49도



 나. CPU 오버클럭 및 안정화 테스트

 CPU 클럭 : 3.6 -> 3.9 g 

 GFX 클럭 : auto -> 1500 클럭

 한번에 링스 테스트를 완료하기 위해 특정 상황에 사용 예정인 GFX 1500로 오버클럭 하여 테스트

 과거의 3200 cl16 / 3400 cl18 메모리의 설정에 비해 기본요구전압이 오름 ( 1.2875v -> 1.325v )

 또한 GFX를 오버하니 요구전압이 추가로 상승 ( 1.325v -> 1.3625v )

 3.9 g / gfx 1500 : 1.3625v / soc : 1.225v

 CPU 최대 온도 : 70.3도 / 전원부 최대 온도 : VRM 51도, VSOC 47도 / 메모리 최대 온도 : 47.3도

 < Linx 0.8.0 for AMD > 20회 통과



 다. 각종 성능 벤치 ( aida64 : 메모리 / 3D MARK fire strike )

메모리의 램타이밍 & 성능 벤치와 GFX( 내장그래픽 )의 클럭에 따른 성능 벤치


 1) 메모리의 램타이밍 & 성능 벤치

  

  


 2) GFX 클럭에 따른 성능 3D MARK Fire Strike ( auto / 1500 / 1550 / 1600 )

 

3D MARK 성능 테스트 및 스트레스 테스트 ( Fire Strike Extreme )

 CPU ( & GFX ) 최대 온도 54.8도 / 전원부 최대 온도 VRM 온도 52도, VSOC 67도 / 메모리 최대 온도 : 44.8도

 * 추가 1 : GFX 1600 중 그래픽 점수가 약간 더 잘 나온 것

 ** 추가 2 : 안정화 시도 중인 메모리클럭 3533 & GFX 1600

 

< GFX : auto = 1240 >


 < GFX : 1500 > 그래픽점수(gs) 4428, 물리학점수(ps) 11102, 종합점수(cs) 1403, 최종점수 3934


 < GFX : 1550 > 그래픽점수(gs) 4489, 물리학점수(ps) 11887, 종합점수(cs) 1419, 최종점수 3997


 < GFX : 1600 > 그래픽점수(gs) 4550, 물리학점수(ps) 11957, 종합점수(cs) 1434, 최종점수 4046


추가 1 < GFX : 1600 > 그래픽점수(gs) 4561, 물리학점수(ps) 11657, 종합점수(cs) 1433, 최종점수 4047


추가 2 < 메모리 클럭 3533 & GFX : 1600 > 그래픽점수(gs) 4595, 물리학점수(ps) 12143, 종합점수(cs) 1450, 최종점수 4089


3. 게임 설정 및 구동 영상 ( 비교 )


가. 스타크래프트 2

 < gfx auto >


 < gfx 1500 >



나. 콜 오브 듀티 4 : 블랙옵스 ( 점령 모드 )

 < gfx auto >


 < gfx 1500 >



아담하고 예쁜 컨셉 그리고 가성비에 맞춰진 내장그래픽 시스템이고 다소 가벼운 용도의 다용도 시스템이지만

메모리 클럭이 시스템 전체의 성능을 좌우하는 AMD의 IF ( infinity febric ) 구조로 인해 적절하게 메모리클럭을 높여주고

상황에 따라 내장그래픽까지 오버클럭을 한다면 일반적인 캐주얼 게임 ( 롤, 피파 등 ) 에서도 준수한 성능을 보여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