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하드웨어

G.SKILL Flare X 3200 CL14 수령, 개봉 및 사용기

Jubey 2018. 6. 14. 22:34

E-BAY 구매 금액의 20% 할인 (배송비, 세금 제외)

유효기간 : 태평양시간(PST) 6월 6일 7AM ~ 7PM / 한국시간 6월 6일 11PM ~ 익일 11AM

최소 구매금액 $50 / 최대 할인금액 $100

Today Only: 

20% Off Everything!*

Celebrate Dad and save with coupon code PICKDADSGIFT
Ends at 7pm PT. Min. $50 purchase.


https://pages.ebay.com/promo/2018/0606/66165.html?afepn=5337259887&pguid=cad92b5f1630aa4847c90d38fffebd7c&siteId=0&AdChoicePreference=true&rmvSB=true


지난 6월 6~7일, 반나절 동안 모든 상품 20% 세일을 하던 ebay 대란이 있었습니다.

그리고 그 덕에 그동안 구매를 고민하던 G.SKILL Flare X 3200 CL14를 구입하였습니다. 

관세 내 가격으로 200달러 미만이라 바로 질렀습니다.

재밌는 건, 판매자가 뉴에그 -0-...

굳이 왜 여러 지숙이 cl14중에서 왜 flare x ?라고 한다면, 제가 사용하는 ddr4 시스템이 전부 라이젠이고...

거기에 추가로 flare x만 거의 유일하게 베이스 메모리가 pc4 19200이기 때문입니다.

기타 튜닝 지숙이 cl14는 일반적으로 pc4 17000 기반입니다.


그리고 오늘 수령하였습니다. 오마이집과 택배사가 2일간 농땡이쳐서... 인천 공항에서 통관도 끝났는데 2일간 묵혀있었던 것은 함정...ㅋ

이베이 직구는 처음이었지만 설마 포장은 탄탄하겠지?.. 라고 생각했는데,

헐... 밟거나 무거운게 있었다면 파손될 수도 있을정도로 허술한 감이....

뽁뽁이 한겹에 봉투 한겹으로 마감했네요.


봉투를 까보니... 판매자 뉴에그의 영수증과 바로 메모리 케이스네요.

간단히 앞면과 뒷면을 촬영~


그리고 이번엔 케이스를 열어보고 앞뒷면 촬영~


내용물이 너무 적고 내구도가 약해보였으나... 장착 해보니 문제가 없네요.


우선, 메인 pc에 장착하기 이전에 간이 테스트부터 go go go~


1. 레이븐릿지 2400G 와 함께하는 asrock ab350m pro4 시스템에서 메모리 클럭의 한계는?


ㅋ... 역시나 3333이 한계입니다.3466으로 부팅은 되나, 개선된 tm5는 둘째치고 tm5원본도 못넘기네요.

3333 클럭에 cl15가 가능한 정도로 만족해야 했으나, 그건 기존에 사용하던 삼성 시금치 B다이로 가능하니.. pass


2. 서밋릿지 1600X 와 함께하는 biostar x370 gt 시스템에서 메모리 클럭의 한계는?


ㅋ.. 역시나 마찬가지로 3333클럭이 한계입니다. 전원부가 풀 디지탈임에도 불구하고 biostar 컨트롤러와 보드 구성이란... ㅠㅠ

기존에 사용하던 삼성 시금치 B다이로 cl15가 불가능하였는데, 불지숙은 가능할런지.....?...... 역시나 불가... -_-.... 아니 도대체...

어쨌든 pass


3. 피나클릿지 2700x 와 함께하는 asus x370 crosshair hero 6 시스템에서 한계를 알아봅시다~!?


현재, 하나씩 작업 중이긴 하지만 간이 테스트 결과를 간단히 올려보도록 하겠습니다.

기본 XMP설정은 당연히 SUCCESS ~ 다음 단계로...

우선 최종적인 목표는 3600클럭 이상에 램타를 최대한 조여보는 겁니다. (레이턴시 50대 진입)


 1) 3400클럭 14-14-14-34-56-340 / 2t / 1.373~1.395v ( tm5 신버전 연달아 3회 통과 )

   - 3200의 xmp를 거의 그대로 불러오고 중간램타들은 올 auto로 두었습니다. 그리고 무난하게 통과.

     그런데, 생각보다 레이턴시가 막 오르지는 않네요. 62.4 ns


 2) 3533클럭 15-15-15-36-56-360 / 2t / 1.395v ( tm5 신버전 연달아 3회 통과 )

  - 3466클럭부터는 cl을 15로 풀어야만 가능했습니다. 마찬가지로 메인 램타를 제외한 나머지들은 올 auto. 그리고 무난하게 통과.

  레이턴시가 61점대로 내려와서 두근거리긴 합니다. 61.2 ns 


 3) 3600 클럭 안정화 및 램타 찾기....

  - 현재 진행중인데, 역시나 램타를 풀어도 쉽게 되지 않습니다.

  인텔이라면 3600 cl15가 충분했을거 같습니다만, 아 라이젠의 최대 약점인 메모리 오버의 힘듬이...

  차후에 바이오스가 잘 지원되면 가능할거 같지만, 그리고 램타를 적절히 풀어보면서 찾아봐야겠지요.. ㅋ


얼추 이것으로 마무리 하면서, 불꽃 지숙이 개봉 및 간단 테스트기를 마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