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작스레 추워진 날씨에 건간들은 어떠신지 그리고 코로나로 부터 안전하길 기원하며 오랜만에 cpu 관련 글을 적어봅니다.
올해 1월 초중부터 매우 바빠진 덕에 그동안 활동하지 못하는 상황이었는데 얼마전 젠3 출시에 맞춰 카카오톡 채널에서 실시하던 5600x 필드테스트에 덜컥 당첨이 되어버렸네요.
그래서 다소 허접할지라도 5600x 사용기를 작성하려고 합니다. ( 2700x 와 직접적인 비교 + 약간의 3600과 간접 비교는 포기 ㅋ )
*** 앞서 말했듯이 필드테스트에 당첨되었으니 당연히 cpu는 AMD로부터 제공받았음을 명확하게 밝힙니다. ***
※ 제 품 소 개 ※
A. 시스템 사양 및 세팅
cpu : 5600x ( pbo / 4.7g 1.325v ) -> prime95 avx off 3시간 통과한 세팅 / 동일 시스템에서 cpu만 교체 2700x -> 5600x
Main Board : gigabyte x470 aorus gaming7 wifi rev 1.0 ( 바이오스 F60c agesa 1.1.0.0 베타 )
Ram : G.skill flare x 3200 cl14 -> 3800 cl16 1.39v ( 램쿨러 지스킬 터뷸런스 ) , 2700x 시스템에서는 3600 cl14 1.46v
Ssd : Samsung 960 EVO 500g
Case : Fractal Design Define R6 Black
Cpu Cooler : NZXT KRAKEN X62 ( push & pull 케이스 전면 세팅,push 크라켄 번들탠, pull evga 280 번들팬. 소음 해소를 위해 30~50% rpm세팅 )
써멀구리스 : Scythe Thermal Elixer 2 High Performance Thermal Grease (SCTE-2000) scythe ninja4, 5에 동봉된 써멀의 원래 모델, 저항력 역산으로 계산하면 최상위 써멀 수준
VGA : 이엠텍 XENON 지포스 GTX1070 JETSTREAM D5 8GB ( 순정 사용 )
B. 기타 전압 세팅
1. llc 설정 cpu -high / soc – auto
( cpu 전압은 high, soc 전압의 경우 auto값이 가장 출렁임이 적음 )
2 Soc 전압 포함 기타 전압 모두 auto ( soc 1.0v / vddg ccd = vddg iod = vddp 0.9v)
** 전압 auto 설정시에 바이오스 버전의 영향을 받긴 하지만 대체적으로 자동으로 설정시 요구 전압이 수율에 따라 잡히는 경우가 많음.
그리고 현재 바이오스에서는 auto 설정 시 soc 전압이 1.0v로 적용됨
( 멤컨 및 IO의 수율이 좋아서 이럴수도 있으나 정확한 이유는 아직 바이오스가 해당 버전 하나 뿐이라 알 수 없음 ) + 기타 전압도 거의 최소값인 0.9v로 적용
3. cpu 전압 관련해서 해당 바이오스의 문제인지는 모르겠으나 바이오스에서 인가전압이 제대로 적용되지 않습니다.
4.7g 세팅에서 전압을 좀 더 낮추어 1.3v로 적용한다 하더라도 윈도우 내에서 확인 해보면 1.325v + llc 적용 상태로 강제 됩니다. 그리고 재부팅을 하게 되면 부팅 불가한 상황이 됩니다. ( 1.325v로 올리면 문제 없이 잘 됨 )
수율에 맞지 않는 전압 설정일 경우 자동으로 필요한 전압을 올려서 시동하는거 같은 강제가 되는데 이게 바이오스의 문제로 보입니다.
4.65g 세팅의 경우 1.3v로 낮춰도 잘 적용되며 4.75g의 경우 1.35v 미만으로는 적용도 안되는 상황이라 바이오스 단에서 cpu클럭에 따라 강제 되는 요구 전압이 있습니다.
C. PBO 세팅, cpu 오버클럭 세팅, ram 오버클럭 세팅
1. pbo 세팅 ( 4.85g 뻥뻥 터짐 -0- )
enble 설정 : mother board, +200 설정 ( 스칼라는 auto : 개인적으로는 이 스칼라 옵션이 안정성에 큰 영향을 준다고 보기에 auto = x2 배수로만 사용
auto 설정 : 그냥 auto 설정 하나 끝
두 세팅의 차이가 거의 없었고 공통적으로 쿨콰 + 글로벌c + pbo에 당연히 필요한 cpb on + cppc 관련 모두 enable 으로 +200 세팅 사용
2. cpu 오버클럭 세팅
전력 관리 기술들 모두 off. ( 쿨콰 + 글로벌c + cpb + cppc 관련 모두 )
llc는 처음엔 turbo를 고수하였으나 high 세팅으로도 문제가 없는 괜찮은 수율인거 같아서 high로 안정화 대충 완료 ( 프라임95 3시간 통과 )
3. ram 오버클럭 세팅
기가바이트 보드의 특성상 전압 세팅은 하려고 해도 램 전압 꼴랑 하나와 채널 전압 세팅 정도인데 채널은 auto 설정
ram 전압은 1.38v 로 테스트 툴들을 다 통과 하였으나 0.01v를 더 올리고 성능 차이가 발생하여 1.39v로 사용
soc 전압 및 각종 램 관련 전압 모두 auto
3800 14-15-15-15-32-48-288-gdm 1t 1.53v로 안정화 테스트 툴은 통과하였으나 전압을 1.55v까지 올려야 가장 좋은 성능을 보여주기에 1.55v 사용하려고 하였지만 굳이 ... 전압을 더 퍼먹여 가면서 이렇게 까지...굳이..라는 생각에 3800 cl16으로 사용.
3800 16-16-16-16-32-48-288-gdm 1t 1.39v
D. 많은 분들이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몇몇 벤치 프로그램 테스트 ( cinebench, cpu-z, 3d mark )
1. CINEBENCH 20, 23
4.7g 세팅 및 시네 벤치 R23의 경우 상기 cpu 오버클럭 스샷 중 시네벤치23 샷 참조
2. CPU - Z
당연하게도? 싱글 코어의 성능은 pbo 세팅이 멀티코어의 성능은 4.7g 오버클럭 세팅이 더 좋은 성능을 보여줍니다.
3. 3D Mark
수동 오버클럭 4.7g 세팅이 물리학 점수에서 약간 좋은 점수를 보여주며 나머지는 오차범위 이내 수준이라 이렇다할 차이는 별로 없다고 보면 됩니다.
추가로 기존에 사용하던 2700x의 경우를 보면 되려 그래픽 점수가 더 높게 나오며 2코어 4쓰레드가 더 많음에도 불구하고 물리학 점수는 더 낮습니다. 메모리 오버클럭 3800 vs 3600의 차이로 인해 종합 점수 역시 더 낮게 나옵니다.
E. 제가 주로 하는 게임 비교 ( 시간이 후달려 거의 못하는 상황이지만 짬짬히 시간내서 해 본 )
- 스타2 / 디아블로3 / apex legend / division2 : 테스트툴이 있음
※ 도표 및 데이터화 하려고 하였으나 시간이 너무..... 그냥 편하게 벤치마크 스샷해서 그대로 옮김
1. 스타크래프트2
일반전과 돌연변이 차이와 맵 차이는 감안해야합니다만 대략적인 차이를 해당 동영상 포함 근처 afterburner 벤치마크 데이터 3개씩 비교해 보겠습니다.
동일 시스템에서 cpu만 교체한 것으로 2700x의 경우 돌연변이 플레이, 맵차이 등을 감안하더라도 평균 프레임, 최대프레임, 최저 프레임의 차이가 확연히 느껴집니다.
2. 디아블로3
5600x의 대균플레이는 5게임이내에 연달아 측정 및 플레이 했기 때문에 5게임 데이터를 하나로 올립니다.
디아블로3의 플레이 특성상 대균열 플레이 중 막(층)을 이동하게 되면 단시간의 로딩 화면으로 인해 최소 0.1% 프레임이 무조건 바닥 나는 경향 ( 1프레임 아래로 떨어짐 ) 이 있어
막(층) 이동시 2700x의 경우 벤치마크를 리셋하고 이어서 측정하였으나 5600x의 경우는 해당 부분에 있어 귀찮음으로 인해 그냥 뒀습니다.
그래서 5600x의 0.1% low의 데이터는 다소 무시해야만 합니다.
어쨌든 이를 감안하든 하지 않든 일반적인 최대, 평균, 최소 프레임의 차이는 어마어마합니다.
메모리 오버클럭 200 추가로 한것 외에는 단지 cpu만 교체 했을뿐입니다.
※ 참고로 5th 시스템인 하스웰 intel i5 4690에서 2700x 보다도 처참한 결과를 보여줍니다. ( 귀찮아서 테스트 포기. 고전게임 전용 pc )
3. Apex Legend
40대 초반을 넘어선 아자씨의 동체시력과 손+손가락 덕에 나름 괜찮은 영상 찍고 골라내느라 시간이 좀 걸렸습니다 ㅋ
APEX LEGEND 의 경우 최적화가 잘 된 게임으로 유명한데 서밋릿지, 피나클릿지에서도 최대 프레임은 다소 딸릴지라도 최소 프레임 방어면에서 intel 시스템을 압도하는 결과를 보여줍니다.
[ coolenjoy.net/bbs/39/11286?p=32 참조 ]
그럼에도 불구하고 벤치마크에서 5600x는 서밋릿지, 피나클릿지와 엄청난 차이를 보여줍니다.
4. Division 2
그래픽 카드가 1070이기에 비디오 설정은 높음에 주사율 고정 하지 않음 설정으로 진행하였고 1920 1080, 2560 1080 해상도를 위주로 테스트 하였습니다. ( 매우 높음 설정도 하나 추가 )
gtx 1070의 성능 때문에 2560 1080 환경에서 gpu의 병목 현상이 발생하여 차이가 거의 없지만 일반적으로 쓰이는 1920 1080의 FHD 환경에서는 로드율 부터가 차이가 발생합니다.
* 2700x : 93% 로드율 / 5600x : 98% 로드율
추가로 매우 높음 설정의 각 해상 스샷도 첨부 합니다. 역시나 vga의 한계가 명확히 나타납니다.
F. 마무리
젠3의 비약적인 성능 향상 결과으로 인해 현재 AMD를 응원하던 입장인 저로써는 많이 놀랐습니다.
과거 다소 아쉽긴해도 상당한 성능향상을 보여준 젠+, 그리고 기대치를 넘어서 큰 성능 향상을 젠2와 비교시에
기대치 이상의 월등한 성능 향상을 보여주었기에 너무나도 놀랐습니다.
심지어 intel의 극최상위 시스템을 제외하고는 일반적인 시스템 성능까지도 뛰어넘어버리는 게이밍 성능 그리고 자사의 모델 타사의 모델과의 비교시에 2코어 4쓰레드의 차이를 IPC차이로 거의 상쇄하고 오히려 역전 시켜버리는 작업 성능까지....
그저 놀라울 따름입니다.
심지어 개인적으로 바래오던 IO의 한계인 3800에서 아직도 머물러? 갖혀? 있는 상황에서도 이런 결과가 나올거라고 상상하지도 않았습니다.
내부적인 구조 변경으로 L3 캐쉬를 2배로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이 게이밍에 있어 큰 성능 향상을 일궈 냈을꺼라 예상하지만 IPC 자체의 성능도 오르고 cpu클럭 역시 크게 올랐기 때문이라 봅니다.서밋 : 4.0g / 피나클 : 4.3g / 젠2(마티스) : 4.4g 가 거의 한계치 였기에 젠3(버미어)의 경우에 4.5g가 한계 이겠거니 했는데..실제 제가 사용한 cpu는 4.7g 프라임95 ( avx off ) 로 통과가 가능한 수율이라니... 그저 놀라울 따름입니다.
게다가 앞으로 나올 cpu인 아직은 루머상의 워홀 ( IO다이 상향? ) 에서 정말 IO다이가 상향되어 메모리 클럭 및 IF클럭이 4200 : 2100 이상이 가능해 진다면 엄청난 성능을 보여줄거라 예상됩니다.
개인적으로는 약간 아쉬운 부분이긴 한데 amd의 cpu가 게이밍에서 intel에 미약하게라도 뒤쳐지길 바래왔습니다.
이유는 다름아닌 가격 때문이고 저 역시 이에 큰 영향을 받는 일개 소비자이기 때문입니다.
양대 cpu 제조 기업이 서로간의 장점을 가지고서 엎치락 뒤치락 하면서 가격 경쟁을 하면 소비자인 저에게는 개이득이기에 그런 포지션이 유지되길 바랬는데 그 구도가 박살난 거 같아 아쉬울 따름입니다.
설사 과거 십몇년전의 amd가 보여줬던 행보까지는 아닐지라도 분명 amd도 이윤을 추구하는 기업이기에 차기 혹은 차차기 cpu 가격이 전체적으로 다 오를꺼라고 예상되기 때문입니다. ( amd cpu의 가격이 천정부지로 올랐었던... )
그때 당시 intel을 응원하였는데 앞으로 당분간 그렇게 될 거 같은 느낌이...
개인적으로는 가성비를 중시해서 애슬론 오리지날 ( 슬롯 k7 ) 부터 amd 제품을 사용하기도 했고 당시 응원했었으나 이후 amd에 좋은 시절이 오자 엄청나게 가격을 올린 시점부터
intel로 갈아탔다가... 다시 가격적인 이유로 amd로 갈아타다가 반복했었는데
콘로 시점부터는 어쩔수 없이 성능차이가 심해 intel cpu를 계속 사용해 왔고2017년 라이젠 발매 시점부터 다시 amd를 응원하던 입장입니다.
부디 amd측에서 과거의 실수를 되풀이 하지 말고 차기 cpu를 적정가격으로 내놓기를 바라며 차근차근 시장 점유율을 올려갔으면 합니다.
'IT > 하드웨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젠3 ( 5600x ) 메모리 오버클럭 4000 cl16 완료 및 co2 세팅 (0) | 2021.04.19 |
---|---|
gigabyte x470 어게7 바이오스 F60 agesa 1.2.0.0 사용기 ( feat. 5600x ) (0) | 2021.03.19 |
[ AMD ] 젠2 이벤트 (0) | 2019.07.30 |
[ AMD ] 라이젠 + 삼성 시금치 메모리 오버클럭 (0) | 2019.02.19 |
[ AMD PC 시리즈 ] 2. 작고 예쁜 그러나 뛰어난 PC ( by 레이븐릿지 ) (0) | 2019.0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