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하드웨어

GIGABYTE B450 I AORUS PRO WiFi 사용기 < CPU & 메모리 오버클럭 >

그동안 itx시스템(레이븐릿지)을 하나 구성하고 싶었지만

여차저차 하다보니 라이젠 시스템만 3개 + @ ( itx + 피나클릿지 2600 )에다가 인텔 시스템 2개에 추가 조립 예정까지....

어느덧 pc가 5대가 넘어가는 상황이 되어버렸습니다.

하지만, 블프 때 겨우겨우 참았던 지름신을 이기지 못하고 

결국 지난주 'GIGABYTE B450 I AORUS PRO WiFi 제이씨현'를 지르고 말았습니다.

게다가 이베이에서 주문한 허세어 벤전스 rgb pro도 현지에서 배대지로 가고 있는 중인....

이래저래 연말, 연초에 각종 일들이 몰려서 시간이 없는데도 지름의 욕구란 ㅋ..

게다가 9600k + evga z370 micro도 조립해야하는데 시간이.....

어찌되었든 본격적으로 itx를 구성하려는 중에 시간이 넉넉치 않아서 원래 목표였던 기존 레이븐릿지 pc에서 apu를 꺼내지 못하고

마찬가지로 시간문제로 조립도 못하고 썩혀있던 ( 원래는 크헤6에 물려주려고 했던 ) 피나클릿지 2600 과 조합해서 누드테스트 겸 이것저것 해보았습니다.


오버클럭의 순서대로 메모리 오버클럭 및 안정화 테스트 후 cpu 오버클럭 및 안정화 테스트를 진행하였습니다.

바이오스 설정은 cpu llc : turbo / soc llc : auto or low / soc 전압 1.075 / cldo : auto


1. 메모리 오버클럭 (  gskill tridentz 3600 cl15 -> 3600 14-15-14-14-28-42-346-gdm on 1t 1.44v )


b450 칩셋에 리얼 페이즈 4+2 구성이지만, 기가바이트 해당 칩 최상위 보드답게 메모리 오버클럭이 발군입니다.

x470 어로스 게이밍 7 wifi 와 동일한 메모리 클럭 + 램 타이밍이 구현이 됩니다.






2. cpu 오버클럭 및 안정화 테스트 + 레이스 맥스 ( 기쿨 - 이벤트 )


메모리 오버클럭 안정화 테스트는 시간 관계상 현재는 tm5 10 cycle x 2회로 얼추 마무리 지었고

cpu 오버클럭을 진행하였습니다. 4.0g 1.35v...

역시나 금손은 아니라서 cpu 클럭 수율은 나쁘지는 않은 평균에서 약간 나은 정도입니다. ( 다행스럽게 멤컨은 상급인거 같긴 합니다 )

메모리 오버클럭을 3200 cl14로 낮추면 4.0g 1.325v로 안정화 가능하긴 합니다.

이 역시 시간관계상 10회 밖에 돌리지 못해서 약간 아쉽긴 하지만 누드테스트 치고 너무 갈군거 같긴 합니다.

아직 사용안한 프리즘은 레이븐릿지로 교체하고 itx 완성 할때 사용할 예정이라서 같이 동봉되어 있는 레이스 맥스 쿨러를 사용하였는데 외형이 생각보다는 많이 이쁩니다.

물론 성능은..... 소음은 생각보다 심하진 않은거 같네요.

누드테스트 상태라서 cpu쿨러인 레이스 맥스를 제외한 팬이 전혀 없는 상태로 진행하였고 덕분에 전원부 온도가 상당히 올라갑니다.




해당 메인보드의 성능과 크기 ( 너무 작아서.. itx 처음입니다 -0- ) 에 놀랐고 rgb도 생각보다 멋있어서 대만족입니다.

아마도 주중은 힘들거 같고 다음주말 정도에 2600 -> 2400g 로 cpu를 교체하면서 itx 시스템을 완성하게 될텐데

나름 cpu클럭 수율 상급인 레이븐릿지로 cpu오버클럭 + 메모리 오버클럭이 어느정도나 될지 매우 궁금하네요.

사용한 메모리의 램타를 풀면 1.35v로 tm5 통과 및 사용 가능했지만 

3600 16-16-16-34-54-630 의 램타이밍이... 특히나 trfc의 수치가 너무 마음에 들지 않아서 사용은 못하겠습니다.

( 레이턴시가 너무 늘어집니다 ㅋ )